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대선 특집 칼럼] 세 후보의 공약을 보면,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이 보인다

    다가오는 2025년 6월,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중요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코로나19 이후의 회복, AI·디지털 경제 시대의 진입, 고령화·양극화의 심화 속에서 새로운 리더에게 주어질 과제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정권의 향방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을 결정짓는 선거가 될 것입니다.

    그 중심에 선 인물은 세 명입니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각기 다른 길을 걸어온 그들은 지금, 매우 상이한 미래 구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세 후보의 공약을 들여다보면, 우리가 마주할 수 있는 세 가지 다른 대한민국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 “디지털과 공정경제의 미래”를 말하는 이재명

    이재명 후보‘AI 산업 육성과 공정한 플랫폼 경제’를 핵심 기조로 내세웁니다. 기술탈취 방지, 소상공인 보호, 금융 부담 완화 등 민생 밀착형 공약도 주목할 만합니다.

    그는 기존 권력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실용적 개입과 균형된 성장을 추구하며, 교육 측면에선 디지털 인프라 확대와 창의적 미래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둡니다.

     

     

    📌 “기업과 시장의 힘을 믿는다”는 김문수

    김문수 후보는 말합니다. “불필요한 간섭보다는 자유가 필요하다.”

    친기업적 접근과 규제 완화, 산업 경쟁력 강화가 그의 핵심 공약입니다. 복지 측면에서는 전면 확대보다 선별 복지 강화에 집중하며, 노동시장에선 유연화를 강조합니다.

    교육 분야에선 직업 교육 강화와 실용성 중심의 개혁을 통해 일하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합니다.

     

     

     

     

     

     

     

    📌 “정부 자체를 바꾸자”는 이준석

    가장 주목받는 후보는 이준석 후보입니다. 그는 공약의 첫머리부터 ‘정부 개혁’을 언급하며, 부처 축소, 권한 분산, 디지털 기반의 효율 정부를 강조합니다.

    경제 부문에선 청년 창업과 스타트업 지원을 통해 민간의 활력을 극대화하며, 복지보다 공정성에 집중합니다.

    교육에선 다양성과 자율성, 혁신 교육 모델을 지향하며 기존 시스템의 근본적인 재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 한눈에 보는 정책 방향 비교

     

    분야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정부 운영 기존 구조 유지, 공정성 강화 간섭 최소화, 시장 우선 부처 축소, 권한 분산
    경제 AI 기반 미래산업, 공정경제 산업 지원 중심, 친시장 접근 스타트업·벤처, 디지털 민간 중심
    민생/복지 보편적 민생 안정 추구 선별적 복지 집중, 효율 강조 세대 간 공정, 청년 정책 강화
    교육 창의 인재 양성, 디지털 인프라 직업교육 강화, 실용성 중시 자율성, 다양성, 혁신 모델 도입

    🧭 유권자의 선택이 만들어낼 새로운 풍경

    각자의 공약은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앞으로 어떤 가치를 우선순위에 둘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기술과 복지의 균형, 시장의 자율, 정부 개혁 — 선택에 따라 대한민국은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될 수 있습니다.

    이제 남은 건 유권자의 몫입니다.

    당신의 한 표가, 우리가 살아갈 ‘대한민국 2030’의 풍경을 결정할 것입니다.

    반응형